미국노동부는 2025년 3월 12일, 2월의 소비자물가지수(CPI)를 발표했습니다. 내용을 보면 전년 동월 대비 CPI는 2.8% 상승하여 이전 달의 3.0%보다 둔화되었으며, 시장 예상치인 2.9%를 하회했습니다. 전월 대비로는 0.2% 상승하여, 이전 달의 0.5% 상승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습니다.
1. 주요 상승 요인
- 주거비 상승: 주거비는 전월 대비 0.3% 상승하여 전체 CPI 상승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.
2. 주요 하락 요인
- 항공료 및 휘발유 가격 하락: 항공료는 4.0% 하락하였으며, 휘발유 가격은 1.0% 감소하여 주거비 상승을 일부 상쇄했습니다.
3. 근원 CPI 동향
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.1% 상승하여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.
4. 연방준비제도(Fed)의 통화정책 전망
인플레이션 둔화로 인해 연방준비제도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4.25~4.50%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시카고상품거래소(CME) 페드워치에 따르면, 5월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 확률은 68%로 전날보다 7%포인트 상승했습니다.
5. 시장 반응
- 주식시장: 인플레이션 둔화 소식에 나스닥 지수는 1.2% 상승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.
- 채권시장: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2일 연속 상승하여 3.5%를 기록했습니다.
6. 향후 전망
이번 CPI 발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,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대한 25% 관세 부과로 인해 향후 물가 상승 압력이 재차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. 이러한 무역 정책의 영향은 향후 몇 달간의 경제 지표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2025년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.8% 상승하여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소 완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. 그러나 최근 무역 정책 변화로 인해 향후 물가 상승 가능성이 존재하므로, 경제 주체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시하며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
'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제 불확실성 시대, 안전자산 미국국채에 투자하는 방법 (0) | 2025.03.20 |
---|---|
2024년 한국 사교육비 현황: 사상 최고치, 학부모 부담은 어디까지? (0) | 2025.03.17 |
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곳, 아시아 은퇴이민 5개국 비교 (0) | 2025.03.13 |
금보다 저렴하지만 강력한 투자! 은 투자 필수 가이드 (2) | 2025.03.12 |
금 투자, 지금 시작해야 할까? 안전자산 활용법 총정리 (0) | 2025.03.12 |